McCartney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cCartney》는 1970년 폴 매카트니가 비틀즈 해체 후 발표한 첫 솔로 앨범이다. 매카트니는 앨범의 모든 악기를 직접 연주하고 린다 매카트니가 백 보컬로 참여했으며, 앨범 커버 사진은 린다 매카트니가 촬영했다. 앨범은 영국에서 2위,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수록곡 〈Maybe I'm Amazed〉는 그의 대표곡 중 하나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 매카트니의 음반 - Ram (음반)
폴 매카트니와 린다 매카트니가 1971년에 발표한 《Ram》은 폴 매카트니의 두 번째 솔로 앨범으로, 세션 음악가들과 협업하여 뉴욕에서 녹음되었으며 발매 당시에는 혹평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 인디 팝의 선구자적인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Uncle Albert/Admiral Halsey"는 미국 빌보드 차트 1위를 기록하고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 폴 매카트니의 음반 - Tug of War (폴 매카트니의 음반)
폴 매카트니가 1982년에 발매한 솔로 음반 《Tug of War》는 존 레논 암살 사건으로 녹음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조지 마틴의 프로듀싱과 스티비 원더, 링고 스타 등 유명 음악가들의 참여로 완성되어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2015년에는 재발매되었다. - 폴 매카트니가 프로듀싱한 음반 - Ram (음반)
폴 매카트니와 린다 매카트니가 1971년에 발표한 《Ram》은 폴 매카트니의 두 번째 솔로 앨범으로, 세션 음악가들과 협업하여 뉴욕에서 녹음되었으며 발매 당시에는 혹평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 인디 팝의 선구자적인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Uncle Albert/Admiral Halsey"는 미국 빌보드 차트 1위를 기록하고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 폴 매카트니가 프로듀싱한 음반 - Wings at the Speed of Sound
1976년 윙스가 발표한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Wings at the Speed of Sound는 밴드 멤버들의 곡 참여를 장려한 폴 매카트니의 의도가 담겨 있으며, "Silly Love Songs"와 "Let 'Em In" 두 히트 싱글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1970년 데뷔 음반 - John Lennon/Plastic Ono Band
존 레논의 1970년 솔로 데뷔 앨범 John Lennon/Plastic Ono Band는 아서 야노프 박사의 원초 요법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그의 심리적 고통과 어린 시절 트라우마를 진솔하게 담아낸 앨범으로, "Mother", "Working Class Hero", "God" 등의 대표곡과 간결한 사운드, 솔직하고 강렬한 가사가 특징이다. - 1970년 데뷔 음반 - Black Sabbath (음반)
《Black Sabbath》는 1970년 블랙 사바스의 데뷔 앨범으로, 헤비 메탈 장르의 선구적인 작품이며 토니 아이오미의 기타 연주와 어두운 분위기의 가사가 특징이다.
McCartney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음반 종류 | 정규 음반 |
아티스트 | 폴 매카트니 |
발매일 | 1970년 4월 17일 |
녹음 기간 | 1969년 12월 1일 – 1970년 2월 25일 |
장르 | 로-파이 아트 팝 |
길이 | 34분 22초 |
레이블 | 애플 |
프로듀서 | 폴 매카트니 |
다음 음반 | 램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1971년 |
녹음 장소 | |
녹음 장소 | 런던에 있는 매카트니의 집 런던 윌레스든의 모건 런던 EMI |
기타 정보 | |
All Music Guide 리뷰 | 'http://www.allmusic.com/album/r12640 링크' |
2. 배경
1969년 9월, 존 레논이 비틀즈 탈퇴 의사를 밝힌 후, 폴 매카트니는 큰 상실감과 우울증에 빠졌다.[196] 캠벨타운에 있는 자신의 농장에서 은둔 생활을 하던 그는 아내 린다 매카트니의 격려와 도움으로 음악 작업을 다시 시작했고, 이는 솔로 앨범 《McCartney》로 이어졌다.[210][211]
1969년 말, 매카트니는 런던 자택에 4트랙 테이프 레코더를 설치하고 솔로 음반 작업을 시작했다.[25][26] 그는 어쿠스틱 및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키보드, 드럼, 타악기 등 앨범의 모든 악기를 직접 연주했으며, 아내 린다는 백 보컬로 참여했다.[28] 이 녹음은 비틀즈가 프로듀서 조지 마틴과 함께 작업했던 이전 작품, 특히 1969년 앨범 ''애비 로드''의 세련됨과는 거리가 멀었다.[29]
음반 커버는 폴 매카트니의 디자인 콘셉트를 바탕으로, 아티스트 고든 하우스와 디자이너 로저 허겟이 작업했다.[59] 앨범 패키지 전체에는 린다 매카트니의 사진이 사용되었는데, 재킷 안쪽 면에는 폴, 린다, 헤더(린다의 첫 번째 결혼에서 낳은 딸), 갓 태어난 메리, 그리고 매카트니 부부의 쉽독 마사가 등장하는 21장의 가족 스냅샷 콜라주가 포함되었다.[60][84]
1969년 9월 20일, 존 레논이 비틀즈 탈퇴 의사를 밝힌 후, 폴 매카트니는 스코틀랜드 캠벨타운에 있는 자신의 농장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196][197] 이 기간 동안 매카트니는 심한 우울증을 겪었으며, 아내 린다의 격려로 솔로 음반 《McCartney》 작업을 시작했다.[210][211]
《McCartney》는 발매 당시 단순한 제작 방식과 미완성된 곡들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226][227] 특히, 비틀즈 해체 책임을 매카트니에게 돌리는 여론과 맞물려 혹평이 쏟아졌다.[228][229] 니컬러스 섀프너는 1977년 저서 《비틀즈 포에버》(''The Beatles Forever'')에서 매카트니가 행복한 가장의 모습을 보이면서 비틀즈 해체를 자신의 솔로 앨범 홍보에 이용하려 한 시도는 "역효과를 낳았다"고 언급하며, "많은 비평가들이 이 모든 것을 부자연스럽고, 품위 없고, 다소 악의적인 것으로 여겼다"고 말했다.[112] 매딩어와 이스터는 이 앨범이 "비평가들의 맹렬한 비난"을 받았으며, 비평가들 사이의 "일반적인 정서"는 "그가 '이것' 때문에 비틀즈를 해체했나?!"와 같은 것이었다고 기록했다.[113]
폴 매카트니가 전곡을 작사, 작곡 및 연주했다.
당시 매카트니는 앨런 클라인의 비즈니스 매니저 임명 문제로 다른 비틀즈 멤버들과 사이가 멀어졌고,[203][204] 이로 인해 우울증은 더욱 심해졌다.[205] 그는 린다의 아버지와 오빠인 리 이스트먼과 존 이스트먼을 매니저로 원했지만, 다른 멤버들은 클라인을 선택했다.[206][207] 매카트니는 이 시기를 신경 쇠약 직전이었다고 회상했다.[208][209]
하워드 소운스는 그의 책 ''Fab: An Intimate Life of Paul McCartney''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린다는 이 시기가 힘들었다. 그녀는 일곱 살 아이와 아기를 돌봐야 했고, 남편은 우울해하고 술에 취해 있었다. 그녀는 훗날 친구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시기 중 하나였다고 말했고, 폴은 자신의 경력에서 이 시점에서 로큰롤 희생자가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회상했다."[22]
3. 녹음
티악에서 VU 미터를 달고 제작한 포 트랙 녹음기가 1970년 초에 나왔지만,[214] 매카트니의 스튜더 머신에는 믹싱 데스크와 VU 디스플레이가 없었다.[25][26][27] 그는 자신의 홈 레코딩 환경을 "Studer, 마이크 하나, 그리고 깡다구"라고 표현했다.[24][27]
처음 녹음된 곡은 캠벨타운에서 작곡한 "The Lovely Linda"의 45초 부분이었다.[33] 이 곡은 새로운 장비의 테스트용이었지만,[32] 앨범의 오프닝 트랙으로 사용되었고, 녹음 끝에는 매카트니의 웃음소리가 담겨있다.[22] 이후 스코틀랜드에서 쓰인 "That Would Be Something"과 기악곡 "Valentine Day"가 녹음되었다.[33] "Valentine Day"는 매카트니가 즉흥적으로 만든 곡으로,[27] "Momma Miss America", "Oo You"와 함께 ''McCartney''에 수록된 세 곡 중 하나였다.[34]
1970년 1월 3일, 매카트니는 비틀즈의 마지막 녹음 세션에 참여하기 위해 ''McCartney'' 작업을 잠시 중단했다.[35] 그,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는 EMI 스튜디오에서 해리슨의 곡 "I Me Mine"을 녹음했다.[36][37] 다음 날, 세 명은 1969년 1월에 녹음했던 매카트니의 "Let It Be"를 다시 작업했다.[37][38]
2월 12일, 매카트니는 윌스던의 모건 스튜디오에서 오버더빙을 위해 4트랙 녹음본을 8트랙 테이프로 복사했다.[39] 그는 프로젝트의 기밀 유지를 위해 "빌리 마틴"이라는 가명으로 작업했다.[40] 이 시기에 그는 1968년 인도 방문 동안 쓰기 시작해 1969년 1월에 비틀즈와 함께 리허설했던 "Junk"와 "Teddy Boy"를 캐번디시 애비뉴에서 녹음했다.[24][41][42] 8트랙으로 옮겨진 다른 녹음에는 "글래시스"와 "싱얼롱 정크"가 포함되었다.[39] "정크"의 기악 버전에는 멜로트론으로 연주되는 현악 섹션 파트가 추가되었다.[50]
모건에서 그는 1950년대 후반에 나온 "폴리네시아의 영향을 받은" 기악곡 "핫 애즈 선"과[59] "크린-아크로레"를 녹음했다.[39] 1975년 2월 15일에 녹음된[43] "크린-아크로레"는 브라질 아마존 강의 크린-아크로레 부족 사람들이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한 곡으로, 활과 화살이 사용되었다.[59][50][42] 린다는 "크린-아크로레"에서 호흡과 동물 소리를 냈다.[42][50]
비틀즈가 공식 발표한 기악곡은 「플라잉」 한 곡뿐이지만, 이 앨범에는 5곡의 기악곡이 수록되어 실험적인 색채가 강하다.
「That Would Be Something」, 에브리 나이트, 「Junk」는 MTV 언플러그드에서 다시 연주되어 공식 해적반에 수록되었다. 「Junk」는 기악으로 연주되었다.[176]
4. 음반 커버
검은색 배경을 바탕으로 한 앞면 커버 사진에는 크림색 벽에 체리-레드 액체가 담긴 그릇과 그 주위에 흩어진 붉은 체리가 놓여 있어, 마치 그릇에서 과일이 쏟아져 나온 듯한 모습을 연출했다.[59] 뒷면 커버에는 린다 매카트니가 스코틀랜드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퍼 안감이 덧대어진 가죽 재킷 안에 메리를 안고 있는 폴의 모습이 담겨 있다.[60][84]
''맥카트니''의 게이트폴드 커버는 린다 매카트니의 사진이 남편의 앨범에 실린 최초의 사례였으며, 이후 약 30년간 그녀의 사진이 앨범에 실리게 된다.[24]
5. 발매와 비틀즈 해체
1970년 4월, 매카트니의 솔로 앨범 발매는 비틀즈의 마지막 앨범 《렛 잇 비》와의 발매 일정 조율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70][71] 링고 스타가 직접 매카트니에게 편지를 전달하러 왔을 때, 매카트니는 "미쳐서" "이제 너를 끝장낼 거야. 넌 대가를 치르게 될 거야!"라고 위협하며 스타를 내쫓았다고 한다.[79][83]
1970년 4월 10일, 매카트니는 영국 언론에 배포한 질의응답 자료를 통해 비틀즈 탈퇴를 공식화했다.[82] 그는 비틀즈 해체 이유로 사업적, 개인적, 창의적인 차이점을 언급했고, 존 레논과의 공동 작업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32][86] 이는 전 세계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으며, 특히 비틀즈 팬들 사이에서 매카트니의 입지를 급락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95][96]
매카트니의 탈퇴 발표는 존 레논을 비롯한 다른 멤버들과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102][103] 레논은 1970년 5월 인터뷰에서 "[매카트니]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은 단순한 사실인데, 그는 혼란을 야기하고 있어요. 나는 작년에 4장의 앨범을 냈고, 그만두겠다는 말은 한 마디도 하지 않았어요."라며 매카트니를 비판했다.[93]
6. 평가
멜로디 메이커지의 리처드 윌리엄스는[230] "음반의 분명한 사운드는 조지 마틴의 공"이라고 분석했다.[231] 윌리엄스는 〈Maybe I'm Amazed〉에는 "순전히 따분함"이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으며,[232] 〈Man We Was Lonely〉에 대해서는 "그의 뮤직홀적인 면모의 최악의 예시"라고 표현했다.[230]
반면, NME의 앨런 스미스는 처음에는 《McCartney》가 "너무나 무해하고 평범하다"고 느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시각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앨범을 듣는 것은 한 남자의 개인적인 만족감이 음악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듣는 것과 같다."고 평했다.[118]
롤링 스톤의 랭던 위너는 비틀즈 시절 매카트니의 최고의 곡들에 비해 이 앨범의 노래들이 "뚜렷하게 2류"라고 평가하며, "Maybe I'm Amazed"만이 그 높은 수준에 "근접"한다고 언급했지만, 매카트니의 보컬은 칭찬했다.[122]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홈 레코딩 방식의 선구적인 시도와 매카트니 특유의 멜로디, 진솔함이 재평가받기 시작했다.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McCartney》가 "사랑스러운 엉성함과 직접 만든 품질"을 가지고 있다고 평했다.[124]
1999년, 닐 영은 폴 매카트니를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하면서[136] ''McCartney''를 칭찬하며 "나는 그 레코드를 좋아했다. 왜냐하면 너무 단순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고 들을 것이 너무 많았다. 그것은 단지 폴이었다. 전혀 장식이 없었다… 그가 이미 했던 것들과 경쟁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그래서 그는 비틀즈의 그림자에서 벗어났다."라고 말했다.[137]
《McCartney》는 인디 앨범, 로파이 레코드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1]
다음은 여러 음악 평론지에서 《McCartney》에 대해 내린 평가이다.매체 평가 올뮤직 The A.V. Club B 블렌더 크리스가우의 레코드 가이드 B Consequence of Sound 대중음악 백과사전 뮤직하운드 3.5/5 피치포크 7.9/10 레코드 콜렉터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7. 곡 목록
사이드 1 제목 재생 시간 The Lovely Linda 0:43 That Would Be Something 2:38 Valentine Day 1:39 Every Night 2:31 Hot As Sun/Glasses 2:07 Junk 1:54 Man We Was Lonely 2:56 사이드 2 제목 재생 시간 Oo You 2:48 엄마 미스 아메리카 4:04 Teddy Boy 2:22 Singalong Junk 2:34 Maybe I'm Amazed 3:53 Kreen - Akrore 4:15 7. 1. Side 1
제목 | 재생 시간 |
---|---|
The Lovely Linda | 0:43 |
That Would Be Something | 2:38 |
Valentine Day | 1:39 |
Every Night | 2:31 |
Junk | 1:54 |
Man We Was Lonely | 2:56 |
7. 2. Side 2
- 〈오 유〉(Oo You) – 2:48
- 〈엄마 미스 아메리카〉(Momma Miss America) – 4:04
- 〈테디 보이〉(Teddy Boy) – 2:22
- 〈싱얼롱 정크〉(Singalong Junk) – 2:34
- 〈메이비 아임 어메이즈드〉(Maybe I'm Amazed) – 3:53
- 〈크린-아크로레〉(Kreen-Akrore) – 4:15
모든 곡은 폴 매카트니가 작사/작곡했다.
:: 모건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기악곡이었으나, 나중에 노래가 붙여졌다.
:: 서로 다른 곡을 메들리로 엮어 한 곡으로 만드는, 이후 폴 매카트니가 특기로 삼는 방식의 기악곡이다. 영화 《제리 맥과이어》에서 〈싱얼롱 정크〉와 함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 비틀즈가 인도에 체류하는 동안 쓰기 시작하여 귀국 후 완성했다. 겟 백 세션에서 연주된 비틀즈 버전은 《더 비틀즈 앤솔로지 3》에 수록되어 있다.
:: 〈정크〉의 기악 버전이다. 영화 《제리 맥과이어》에서 〈엄마 미스 아메리카〉와 함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 라이브에서 자주 연주되는 곡이며, 《윙스 U.S.A. 라이브!!》, 《폴 매카트니 라이브!! 1989-1990》, 《백 인 더 U.S. - 라이브 2002》에 수록되어 있다. 《윙스 U.S.A. 라이브!!》 발매 당시 일본어 제목은 '마음의 속삭임'이었다. 같은 곡에 두 개의 일본어 제목이 붙는 경우는 드물다.
:: 브라질의 인디오에게 헌정하는 기악곡이다.
8. 참여 인원
9. 차트 성적
McCartney영어는 영국 앨범 차트에서 2위[152],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1위[153]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일본 오리콘 LP 차트에서는 13위[148]를 기록했다.
차트 | 최고 순위 |
---|---|
호주 켄트 뮤직 리포트[144] | 3 |
캐나다 RPM 앨범 차트[145] | 1 |
네덜란드 메가 앨범 차트[146] | 3 |
프랑스 SNEP 앨범 차트[147] | 4 |
일본 오리콘 LP 차트[148] | 13 |
노르웨이 VG-lista 앨범 차트[149] | 2 |
스페인 앨범 차트[150] | 4 |
스웨덴 Kvällstoppen 앨범 차트[151] | 2 |
영국 앨범 차트[152] | 2 |
미국 빌보드 톱 LP[153] | 1 |
서독 미디어 컨트롤 앨범 차트[154] | 15 |
차트 | 최고 순위 |
---|---|
네덜란드 앨범 차트[146] | 85 |
프랑스 앨범 차트[155] | 91 |
일본 앨범 차트[156] | 27 |
스페인 앨범 차트[157] | 74 |
영국 앨범 차트[158] | 88 |
미국 빌보드 200[159] | 50 |
미국 톱 팝 카탈로그 앨범[153] | 7 |
참조
[1]
웹사이트
Paul McCartney Walks the Fine Line Between Chaos and Creation
https://www.pastemag[...]
2005-10-26
[2]
웹사이트
Memory Almost Full – Paul McCartney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s://www.allmusic[...]
AllMusic
[3]
웹사이트
Paul McCartney to release new album recorded alone in lockdown
http://www.theguardi[...]
2020-10-21
[4]
서적
Doggett, pp. 101–03.
[5]
서적
Spizer, p. 116.
[6]
서적
Woffinden, p. 27.
[7]
서적
Sounes, p. 262.
[8]
서적
Schaffner, pp. 127–28.
[9]
서적
Norman 2016, pp. 404–05.
[10]
서적
Miles 2001, pp. 357, 358.
[11]
서적
Sounes, pp. 262–63.
[12]
서적
Norman 2016, pp. 405–06.
[13]
서적
Clayson, p. 205.
[14]
서적
Doggett, pp. 85–86, 101, 111.
[15]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Encyclopedia of Rock & Roll, p. 61.
[16]
서적
Doggett, pp. 70, 132.
[17]
서적
Sounes, pp. 250, 251–52, 253.
[18]
서적
Miles 1998, p. 570.
[19]
서적
Sounes, pp. 263, 264.
[20]
서적
Hunt, p. 10.
[21]
서적
Rodriguez, p. 1.
[22]
서적
Sounes, p. 264.
[23]
간행물
Alone Again, or …
2001-07
[24]
서적
Madinger & Easter, p. 154.
[25]
서적
Miles 1998, p. 571.
[26]
서적
Winn, p. 372.
[27]
웹사이트
Press release (9 April 1970)
http://www.dmbeatles[...]
Apple Records
2013-01-17
[28]
서적
Castleman & Podrazik, pp. 186–88.
[29]
서적
Schaffner, p. 135.
[30]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Encyclopedia of Rock & Roll, p. 640.
[31]
서적
Rodriguez, p. 2.
[32]
서적
Spizer, p. 117.
[33]
서적
Madinger & Easter, p. 155.
[34]
서적
Spizer, pp. 117, 118.
[35]
서적
Doggett, p. 112.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The McCartney Legacy Volume 1: 1969-73
HarperCollins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The McCartney Legacy Volume 1: 1969-733
HarperCollins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간행물
Fight to the Finish
[57]
서적
The Beatles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간행물
"... And in the End"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The Beatles
[70]
서적
[71]
서적
Rodriguez, p. 3.
[72]
서적
Blake, p. 104.
[73]
서적
Goodman, pp. 192–93.
[74]
서적
Doggett, p. 121.
[75]
서적
The Beatles, p. 351.
[76]
서적
Winn, p. 380.
[77]
서적
Doggett, pp. 120, 121.
[78]
서적
Goodman, p. 193.
[79]
서적
Clayson, p. 206.
[80]
서적
Doggett, p. 122.
[81]
서적
Badman, p. 3.
[82]
서적
Sounes, pp. 265–66.
[83]
서적
Sounes, p. 265.
[84]
서적
Sounes, p. 266.
[85]
서적
Doggett, p. 128.
[86]
서적
Brown & Gaines, p. 347.
[87]
서적
Brown & Gaines, p. 346.
[88]
서적
Winn, p. 381.
[89]
서적
Doggett, p. 124.
[90]
서적
Doggett, pp. 126, 128.
[91]
서적
Badman, p. 4.
[92]
서적
Hertsgaard, p. 279.
[93]
간행물
The Beatles: One Guy Standing There, Shouting 'I'm Leaving'
https://web.archive.[...]
1970-05-14
[94]
서적
Castleman & Podrazik, p. 88.
[95]
서적
Carr & Tyler, p. 90.
[96]
서적
Woffinden, p. 33.
[97]
간행물
Beatles Timeline: The Fab Four's 50 Most Memorable Moments" > "038. April, 1970: McCartney releases self-titled debut
http://www.billboard[...]
2014-02-07
[98]
서적
Norman 2016, p. 416.
[99]
서적
Doggett, p. 137.
[100]
서적
Badman, p. 8.
[101]
서적
Castleman & Podrazik, p. 361.
[102]
서적
Goodman, p. 195.
[103]
서적
Carlin, p. 204.
[104]
서적
Badman, p. 16.
[105]
서적
Sounes, p. 279.
[106]
문서
Woffinden, p. 61.
[107]
문서
Norman 2008, pp. 657–58.
[108]
문서
Spizer, p. 6.
[109]
문서
Rodriguez, pp. 151, 178.
[110]
문서
Carlin, p. 205.
[111]
문서
Schaffner, pp. 135, 136.
[112]
문서
Madinger & Easter, pp. 151, 154.
[113]
문서
Badman, p. 5.
[114]
문서
Sounes, p. 271.
[115]
문서
Sounes, pp. 271–72.
[116]
문서
Norman, p. 420.
[117]
간행물
Paul McCartney: ''McCartney'' (Apple)
1970-04-18
[118]
문서
Hunt, p. 29.
[119]
뉴스
Ringo Stars: Geoffrey Cannon on the Beatles' Solo Albums
http://www.rocksback[...]
1970-12-19
[120]
간행물
Review: The Beatles ''Let It Be''; Paul McCartney ''McCartney''; Ringo Starr ''Sentimental Journey''
1970-08
[121]
간행물
Paul McCartney ''McCartney''
https://www.rollings[...]
2014-07-22
[122]
문서
Frontani, p. 163.
[123]
웹사이트
McCartney – Paul McCartney
http://www.allmusic.[...]
2014-07-22
[124]
웹사이트
Paul McCartney: McCartney / McCartney II
https://www.avclub.c[...]
2018-04-19
[125]
간행물
Paul McCartney: McCartney
http://www.blender.c[...]
2018-10-03
[126]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07
[127]
웹사이트
Album Review: Paul McCartney – McCartney [Reissue]
https://consequenceo[...]
2018-04-19
[128]
문서
Larkin, p. 1257.
[129]
문서
Graff & Durchholz, p. 730.
[130]
웹사이트
Paul McCartney: McCartney / McCartney II
http://www.pitchfork[...]
2018-04-19
[131]
간행물
Paul McCartney: McCartney
2011-07
[132]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014-07-22
[133]
문서
Rodriguez, p. 178.
[134]
문서
Rodriguez, pp. 178–79.
[135]
문서
Badman, p. 619.
[136]
웹사이트
Flashback: Paul McCartney Releases First Solo Album
http://www.wmmr.com/[...]
WMMR
2018-04-19
[137]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https://books.google[...]
Octopus Publishing Group
2011-12-05
[138]
문서
Badman, p. 507.
[139]
웹사이트
27 April 2011: McCartney and McCartney II reissue details announced {{!}}The Beatles Bible
http://www.beatlesbi[...]
2012-01-07
[141]
웹사이트
UPDATED: 50th Anniversary Half-Speed Mastering release of 'McCartney' for Record Store Day
https://www.paulmcca[...]
2020-03-05
[142]
웹사이트
Paul McCartney to release ''McCartney'', ''McCartney II'' and ''McCartney III'' box set
https://www.uncut.co[...]
2022-06-17
[143]
문서
Spizer, pp. 117–18.
[144]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145]
간행물
Top Albums/CDs – Volume 13, No. 14_15
http://www.collectio[...]
1970-06-06
[146]
웹사이트
dutchcharts.nl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dutchcharts.n[...]
MegaCharts
2013-05-03
[147]
웹사이트
InfoDisc : Tous les Albums classés par Artiste > Choisir Un Artiste Dans la Liste
http://infodisc.fr/A[...]
infodisc.fr
2013-05-03
[148]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149]
웹사이트
norwegiancharts.com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norwegianchar[...]
VG-lista
2013-05-03
[150]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Fundación Autor-SGAE
2005-09
[151]
웹사이트
Swedish Charts 1969–1972 (in PDF-files)
http://www.hitsaller[...]
Hitsallertijden
2013-05-08
[152]
웹사이트
Paul McCartney: Artist: Official Charts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Company
2014-03-05
[153]
간행물
Paul McCartney Chart History: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2024-11-13
[154]
웹사이트
Album Search: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www.officialc[...]
Media Control
2013-10-10
[155]
웹사이트
lescharts.com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lescharts.com[...]
Syndicat National de l'Édition Phonographique
2012-05-03
[156]
웹사이트
ポール・マッカートニー-リリース-ORICON STYLE-ミュージック Highest position and charting weeks of ''McCartney'' (2011 reissues) by Paul McCartney
http://www.oricon.co[...]
Oricon
2012-05-03
[157]
웹사이트
spanishcharts.com –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hitparade.ch/[...]
2012-05-03
[158]
웹사이트
Chart Log UK – New Entries Update 25.06.2011 (week 24)
http://zobbel.de/clu[...]
2011-06-27
[159]
간행물
Music Albums, Top 200 Albums & Music Album Charts
http://www.billboard[...]
2011-08-31
[160]
웹사이트
Les Albums (CD) de 1970 par InfoDisc
http://www.infodisc.[...]
infodisc.fr
2011-05-04
[161]
웹사이트
The Official UK Charts Company: ALBUM CHART HISTORY
http://www.theoffici[...]
2007-12-17
[162]
웹사이트
Billboard.BIZ – Top Pop Albums of 1970
http://www.billboard[...]
2011-07-13
[163]
서적
ビートルズ語辞典 藤本国彦著 誠文堂新光社
[164]
문서
この時に一部界隈で噂となっていた「ポール死亡説」が流布しファンは騒然、ピーター・ブラウン (アシスタント)|ピーター・ブラウンらアップルの社員が火消しに躍起した。
[165]
서적
ポール・マッカートニー ビートルズ神話の光と影
近代映画社
[166]
문서
Miles 2001, p. 369.
[167]
문서
この時、ビートルズが残した『レット・イット・ビー|ゲットバック・セッション』の録音をアルバムにまとめるため、フィル・スペクターが同じEMIスタジオでミックスダウンを行っていることをマッカートニー自身は知らなかった。
[168]
문서
Blake, p. 104.
[169]
웹사이트
マッカートニー・シリーズを楽しむためのトピックス
https://www.universa[...]
UNIVERSAL MUSIC JAPAN
2022-11-06
[170]
문서
Miles 1998, p. 571.
[171]
문서
Spizer, p. 117.
[172]
문서
発売元はヒア・ミュージック(日本では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 (日本)|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
[173]
서적
Keith Badman著 The Beatles Diary Volume 2: After The Break-Up 1970-2001 Omnibus Press
[174]
웹사이트
『マッカートニーI / II / III』ボックス・セット発売決定!
https://www.universa[...]
UNIVERSAL MUSIC JAPAN
2022-10-23
[175]
문서
''Suicide''の完全版はリマスター版に収録。
[176]
문서
「シンガロング・ジャンク」ではなくクレジットは「ジャンク」
[177]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178]
간행물
Top Albums/CDs – Volume 13, No. 14_15
http://www.collectio[...]
1970-06-06
[179]
웹사이트
dutchcharts.nl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dutchcharts.n[...]
MegaCharts
2013-05-03
[180]
웹사이트
InfoDisc : Tous les Albums classés par Artiste > Choisir Un Artiste Dans la Liste
http://infodisc.fr/A[...]
infodisc.fr
2013-05-03
[181]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182]
웹사이트
norwegiancharts.com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norwegianchar[...]
VG-lista
2013-05-03
[183]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Fundación Autor-SGAE
2005-09
[184]
웹사이트
Swedish Charts 1969–1972 (in PDF-files)
http://www.hitsaller[...]
Hitsallertijden
2013-05-08
[185]
웹사이트
Paul McCartney: Artist: Official Charts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 Company
2014-03-05
[186]
웹사이트
"McCartney: Charts & Awards: Billboard Albums"
"{{AllMusic|class=al[...]
allmusic.com
2011-09-14
[187]
웹사이트
Album Search: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www.officialc[...]
Media Control
2013-10-10
[188]
웹사이트
lescharts.com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lescharts.com[...]
Syndicat National de l'Édition Phonographique
2012-05-03
[189]
웹사이트
ポール・マッカートニー-リリース-ORICON STYLE-ミュージック Highest position and charting weeks of ''McCartney'' (2011 reissues) by Paul McCartney
http://www.oricon.co[...]
Oricon Style
2012-05-03
[190]
웹사이트
spanishcharts.com – Paul McCartney – McCartney
http://hitparade.ch/[...]
2012-05-03
[191]
웹사이트
Chart Log UK – New Entries Update 25.06.2011 (week 24)
http://zobbel.de/clu[...]
2011-06-27
[192]
간행물
Music Albums, Top 200 Albums & Music Album Charts
http://www.billboard[...]
2011-08-31
[193]
웹사이트
Les Albums (CD) de 1970 par InfoDisc
http://www.infodisc.[...]
infodisc.fr
2011-05-04
[194]
웹사이트
The Official UK Charts Company: ALBUM CHART HISTORY
http://www.theoffici[...]
2007-12-17
[195]
웹사이트
Billboard.BIZ – TOP POP ALBUMS OF 1970
http://www.billboard[...]
2011-07-13
[196]
문서
Doggett, pp. 101–03.
[197]
문서
Spizer, p. 116.
[198]
문서
Woffinden, p. 27.
[199]
문서
Sounes, p. 262.
[200]
문서
Schaffner, pp. 127–28.
[201]
문서
Miles 2001, pp. 357, 358.
[202]
문서
Sounes, pp. 262–63.
[203]
문서
Doggett, pp. 85–86, 101, 111.
[204]
문서
"The New Rolling Stone Encyclopedia of Rock & Roll, p. 61."
[205]
문서
Clayson, p. 205.
[206]
문서
Sounes, pp. 250, 251–52, 253.
[207]
문서
Doggett, pp. 70, 132.
[208]
문서
Miles 1998, p. 570.
[209]
문서
Sounes, pp. 263, 264.
[210]
문서
Rodriguez, p. 1.
[211]
문서
Sounes, p. 264.
[212]
문서
Madinger & Easter, p. 154.
[213]
문서
Miles 1998, p. 571.
[214]
보도자료
Press release (9 April 1970)
http://www.dmbeatles[...]
Apple Records
[215]
문서
Spizer, p. 118.
[216]
문서
Spizer, pp. 118, 120.
[217]
웹인용
Paul McCartney McCartne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7-22
[218]
뉴스
Consumer Guide (10)
http://www.robertchr[...]
robertchristgau.com
2014-02-10
[219]
문서
Larkin, p. 1257.
[220]
서적
The Essential Rock Discography
https://archive.org/[...]
Canongate
[221]
문서
Graff & Durchholz, p. 730.
[222]
웹사이트
Paul McCartney: McCartney / McCartney II | Album Reviews | Pitchfork
http://www.pitchfork[...]
[223]
웹인용
Paul McCartney McCartney CD
http://www.cdunivers[...]
CD Universe/Muze
2014-08-02
[224]
잡지
Paul McCartney McCartney
http://www.rollingst[...]
2014-07-22
[225]
웹인용
Paul McCartney: Album Guide
http://www.rollingst[...]
rollingstone.com
2014-07-22
[226]
문서
Rodriguez, pp. 151, 178.
[227]
문서
Carlin, p. 205.
[228]
문서
Schaffner, pp. 135, 136.
[229]
문서
Madinger & Easter, pp. 151, 154.
[230]
문서
Badman, p. 5.
[231]
문서
Sounes, p. 271.
[232]
문서
Sounes, pp. 271−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